내가 기록하고 까먹지 않기 위해 기록남기기!
이번에 세팅 할 버전들은
ruby 2.2.1p85 (2015-02-26 revision 49769) [x86_64-linux]
Rails 4.2.11.3
gem 2.7.6
mysql2
이정도 입니다..
에디터는 'RubyMine-2020.3.3' 을 이용했습니다.
이클립스 낮은 버전에서도 ruby on rails 프로젝트를 생성 및 관리,디버깅 이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세팅이 귀찮고...
맘같아선 vscode 를 이용해서 작업하고싶지만 고급 개발자가아니라 세팅하는데 한세월일듯해서 RubyMine 을 이용합니다...
( RubyMine 은 에디테에서 코드를 수정하면 다른 에디터와 다르게 자동저장이 되므로 코드를 수정하고 따로 'Ctrl + S' 를 눌러 저장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1) New Project 생성하기
![](https://blog.kakaocdn.net/dn/K8Pmt/btrMPUTgXNq/cTEi29WdhZasQW03huWS71/img.png)
-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 할 폴더를 열어줍니다.
(project 폴더 안에 신규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위의 사진은 project 폴더를 연 상태입니다.)
- 루비마인 하단의 'Terminal' 창을 열어줍니다.
- 명령어 rails new crud_1 을 입력해줍니다.
(뒤쪽의 crud_1 부분은 생성하고 싶은 프로젝트명을 입력하면 됩니다.)
2) 생성된 파일 확인
![](https://blog.kakaocdn.net/dn/bwsbib/btrMOoHBXip/nMmRuDZy236VWcpE13bBa1/img.png)
- 명령어를 입력 한 후 프로젝트에 필요한 파일들이 생성 된 것을 확인합니다.
3) 서버 실행 후 확인해보기
![](https://blog.kakaocdn.net/dn/bnmjrd/btrMQOFgFQV/hMKt8SmzkkdpJJJGkYPFA0/img.png)
- 일단 오류페이지라도 나오니깐 1차로 세팅은 정상(?)적으로 된 상태입니다.
- 저는 sqlite 대신 mysql을 사용할 예정이므로 설정을 하겠습니다.
4) mysql 세팅하기
![](https://blog.kakaocdn.net/dn/b4qRgW/btrMOVd1aXw/PBMfgDW8FPtqJ39XxlWt8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wbmA2/btrMQOkWgeI/UFn5MMlBK8qoOTIjwddPoK/img.png)
- 확인해야할 파일은 'crud_1 > Gemfile' 이랑 'crud_1 > config > databases.yml' 입니다.
- 각각의 파일을 열어보면 위의 사진들과 같이 세팅이 되어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sqlite3 로 세팅되어있는데 이 부분들을 mysql2 로 변경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uZq8/btrMOWcX0BQ/Bi9qbwNxM31TQhPS4RKHr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hMch/btrMPPxMjp2/2ge0c7wl3U1B2wBo75m6d0/img.png)
username: root
password: 'password'
host: localhost
development
<<: *default
database:crud_2
username : 일반적으로 mysql계정을 생성하지 않았다면 root 입니다.
password : 계성 생성시 등록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host : 일단은 연습용이니.. localhost 로 지정합니다.
development 부분의 database : 부분은 db에 database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crud_1 > Gemfile' 이랑 'crud_1 > config > databases.yml' 파일 수정이 끝났다면 서버를 재기동해주면 됩니다.
그 후 브라우저에서 localhost:3000 을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7GWbP/btrMOnvd4cm/Yco7OalCzVujd491r4a94k/im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