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정보] 도메인과 URL, 포트

728x90

도메인 이란 ?

 

 

 

ip?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 (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ex) 115.68.24.88, 192.168.0.1

 

 

 

도메인은 숫자로 이루어진 인터넷상의 IP주소를 알기 쉬운 영문으로 표현해 주는 역할

 

ex ) IP주소가 211.115.83.234 일 경우 이를 문자로 표현한 도메인 이름은 gabia.com <<

 

 

 

도메인(Domain) 종류

 

 

 

도메인의 종류는 크게 다음 2가지로 나뉜다.

 

 

 

1)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country code Top-Level Domain)

 

-> 국가 별로 배당된 최상위 도메인이며, 알파벳 2글자로 구성 된다 (.kr .jp .cn ... )

 

 

 

2)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generic Top-Level Domain)

 

->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전 세계 통용 도메인으로 .com(일반회사), .net(네트워크 관련기관), org(공공기관, 단체) 등이 있다.

 

최근에는 .shop, .store, .coffee 등 다양한 단어를 활용한 도메인도 등장하고 있다.

 

 

 

URL 이란 ?

 

 

 

(a)http:// (b)static.naver.com/ (c)www/u/2010/0611/ (d)nmms_215646753.gif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자원을 찾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 자원의 위치와

 

종류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나타내는 일련의 규칙을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자원 위치 지정자) 이라고 한다.

 

URL은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크롬 등의 프로그램)

 

상단 (주소 표시줄)에 입력/표시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URL = 인터넷 주소' 라고 인식 하고 있다.

 

URL은 인터넷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는 물론, 이메일, 파일 전송과 같이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 자원을 이용하는 모든 형태에 적용된다.

 

 

 

a) 프로토콜 (컴퓨터 통신규약(약속))

 

URL의 맨 앞에 있는 것은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하는데,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중 하나이다. 'http'는 인터넷에서 웹 브라우저로

 

문서나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공통 규약이므로, 일단 이 URL은 일반적인 인터넷 서핑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뒤에는 콜론( : )을 적으며 도메인 이름이나 IP주소로 이어지는 경우 콜론( : ) 뒤에 슬래시 2( // )를 덧붙여준다.

 

 

 

b) 정보 자원을 가진 컴퓨터의 위치 (도메인)

 

그리고 프로토콜 뒤에 표시된 것은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혹은 인터넷) 상의 컴퓨터 위치이다.

 

위의 예에서 static.naver.com이 표기 되어 있는데 이는 네이버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정보자원이 네이버의 서버 컴퓨터 안에 있음을 알 수 있다.

 

 

 

c) 파일 디렉터리

 

그리고 컴퓨터 이름 뒤에 표시된 www/u/2010/0611/는 디렉토리 (파일 경로, 폴더)를 뜻하는데,

 

위의 경우 네이버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www'라는 이름의 디렉토리가 있으며 이 안에는 'u/2010/0611/'로 이어지는

 

하위 디렉토리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파일 디렉토리는 생략할 수 있다. 이 때는 컴퓨터 관리자가 정한 기본 디렉토리를 뜻하게 된다.

 

 

 

d) 정보 자원 이름

 

그리고 마지막에 표시되는 것은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 자원(흔히 파일)의 이름이다. 위의 예에는 'nmms_215646753.gif'가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확장자(컴퓨터 파일명 뒤에 붙는 구분 기호)를 보면 알 수 있듯 GIF 그림 파일의 일종이다. 따라서 위 사용자는 네이버의 서버 컴퓨터 안에 저장된

 

nmms)215646753.gif 라는 이름의 그림 파일을 보기위해 위와 같은 URL을 입력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편의상 생력하는 경우가 많다.

 

생력되면 컴퓨터가 관리자가 정한 기본 정보 자원 이름을 뜻하게 되는데, 보통은 index.html, default.html 등 이다.

 

 

 

URL은 실제 네트워크 경로를 가리키는 말.

 

프로토콜명://IP주소(도메인 이름)/디렉터리, 파일 이름:포트 번호의 형식

 

 

 

https: 프로토콜 (a)

 

biz.gabia.com: 도메인 (b)

 

email/order/pricing/: 파일 디렉터리 (c)

 

index.html: 파일 이름 (d)

 

 

 

포트란 ?

 

 

 

"논리적인 접속 장소"

 

 

 

어떤 서버 컴퓨터로 들어오는 문 이다.

 

만약 서버컴퓨터의 집 주소를 IP라 한다면

 

이 서버컴퓨터의 집으로 들어오는 '', 통로를 '포트 라고한다.'

 

 

 

IP : 컴퓨터를 찾을 때 필요한 주소

 

Port : 그 컴퓨터 안에서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수단.

 

 

 

사용 목적에 따라 지정된 논리적 주소인 포트 번호로 연결된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 시,

 

발신 컴퓨터에서 출발한 패킷(사용자 데이터)TCP/IP 의 각 계층을 거치면서 최종 목적지 주소(IP)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 도착, 패킷을 수신한 컴퓨터는 패킷 안에 있는 데이터만 응용 프로그램에 전달.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에 이미 정해져있는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전송 계층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구분 한다.

 

 

 

포트번호는 0~65535 까지 지정되어 있습니다.

 

0 ~ 1023 : 잘 알려진 포트, 웹서버나 메일서버같은 일반적인 프로그램들이 사용.

 

1024 ~ 49151 : Registered Port, 잘 알려져있지 않은 프로그램들이 사용.

 

49152 ~ 65535 : 동적포트, 서버가 클라이언트 식별시 사용.

 

 

 

21 : FTP : File Transfer Protocal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위한 프로토콜

 

22 : SSH : Secure Shell : 시큐어 셀 : 다른 사용자가 세션을 엿듣지 못하도록 세션을 감싸 보안 및 안정성을 높임.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 Linux 계열에서 사용함.

 

23 : TELNET : 텔넷 :

 

25 :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전자우편을 보낼 때 이용하는 프로토콜

 

53 : DNS : Domain Name System : 영문/한글 주소를 네트워크에서 찾아갈 수 있는 IP로 변환해 준다.

 

Web

 

61 : SNMP :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80 :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ao

 

110 : POP3 :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115 : SFTP

 

143 : IMAP : 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al

 

443 : HTTPS(SSL)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 월드와이드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

 

3389 : RDP : 윈도우 PC 원격데스크탑 연결

 

 

 

ex )

 

현실 주소 네트워크 주소

 

서울광역시 강남구 삼성 1동 코엑스 IP주소 - 192.168.0.1

 

100호 포트번호 -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