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CSS

[CSS]display

728x90

display 속성에는 inline , inline-block , block , none 이 있다

각 속성마다 속성값이 

 

  inline inline-block block none
width

글자크기를 따라감

 

지정한 값

 

지정한 값

 

보이지 않음

 

본질

글자화

 

글자화

 

블록화

 

-
line 사용

한줄에 여러개

 

한줄에 여러개

 

한줄을 혼자씀

 

-
정렬 방법 부모의 text-align 부모의 text-align

margin-left,

margin-right 사용

-

width:200px; height: 200px; border: 5px solid black; font-size 없음
width:200px; height: 200px; border: 5px solid black; font-size:5rem;

먼저 div 5개를 만든 뒤 글을 입력하고 4개의 div 에만 각각 width: 200px; height: 200px; 을 주고 각각 background-color 를 다르게 주었다. 그리고 각 박스마다 display 값을 inline , block , none , inline-block 값을 준 상태이다.

 

먼저 inline의 경우 글씨크기에 따라 display 의 변화를 볼 수 있는데 font-size 의 크기에 따라 display 값이 변하는 걸 볼 수 있다. 하지만 inline-block 과 block의 경우 고정된 width 와 height 값을 따라가기 때문에 글씨가 지정된 크기를 넘어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위의 그림처럼 font-size에 따라 지정된 값 안에 글씨를 넣을 경우 inline을 사용한다.

width:200px; height: 200px; border: 5px solid black; font-size:1.5rem; text-align: center;
width:200px; height: 200px; border: 5px solid black; font-size:1.5rem; text-align: center;

inline , inline-block , block 마다  정렬 방법이 있는데 위의 사진처럼 각 태그마다 text-align: center; 를 주게되면 inline과 block는 지정된 넓이 안에서 텍스트들만 text-align:center;가 되는 것을 볼 수 있고 inline의 경우 글자의 크기를 따라가므로 text-align 의 변화가 없는것을 볼 수 있다.

nav {text-align: center;}

div의 부모인 nav 에 text-align:center; 를 주게되면 inline과 inlne-block은 움직이지만 block인 상태의 div는 움직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nav > div:nth-child(2) { margin-lef: 500px;}

만약 display의 속성값이 block인 태그를 정렬 시키고 싶다면 margin-left와 margin-right를 이용하여 정렬을 시켜준다.

'Programming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media 간단하게 알아보기  (0) 2020.05.15
[CSS] margin padding  (0) 2020.05.09
[CSS]자주쓰이는position 속성  (0) 2020.05.08
[CSS]float 속성 정의  (0) 2020.05.05
[CSS] 자손선택자, 후손선택자  (0) 2020.04.25